금일 미국 증시는 예상보다 강한 고용지표가 경기 둔화 우려를 완화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 마감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유지되며 채권금리는 상승했고,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로 일부 종목이 급등하는 흐름을 보였다.
개요
나스닥종합
|
S&P 500
|
다우존스
|
원달러 환율
|
2025년 7월 3일 목요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시장은 6월 비농업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며 경기에 대한 낙관론을 반영했다. 특히 신규 고용이 14만 7천 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4.1%로 하락하면서 노동시장의 탄탄함을 확인시켜주었다. 다만 세부 지표에서는 공공교육 분야의 고용 증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고, 민감 산업군에서는 고용 둔화가 관찰되며 연말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2년물 국채금리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유지되면서 상승하였다. 테크 섹터에서는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을 해제했다는 소식으로 신옵시스(Synopsys)와 헤이든스(Haydens)의 주가가 급등하였다.
주요 뉴스
- 고용지표 호조
- 6월 비농업 고용: 14만 7천 명 증가 (예상 상회)
- 실업률: 4.1%로 하락
- 평균 시간당 임금 상승률: 전년 대비 3.7% (2024년 7월 이후 최저치)
- 헤드라인 수치는 긍정적이나 공교육 중심의 고용 증가가 주요인
- 민감 산업군 고용 둔화 → 연말 경제 리스크로 부각 가능성
- 금리 및 채권시장 반응
-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 2년물 국채금리 상승, 정책금리에 민감한 구간에서 반응 뚜렷
- 종목별 이슈
-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 해제: 신옵시스, 헤이든스 강세
- 정책 이슈: 트럼프 대통령, 91관세 유예 조치 연장 여부 직접 결정 예정
- 미국 하원: 트럼프 감세 법안 218-24로 통과
- 혼재된 경제 신호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6주 만에 최저치
- 서비스업 고용: 올해 들어 세 번째 위축 → 금리 정책 효과 반영
내일 경제 지표
발표 일정 | 경제 지표명 | 예상치 | 이전값 | 중요도 |
---|---|---|---|---|
2025.07.04 | 독립기념일 (시장 휴장) | - | - | ★★★ |
2025.07.05 | ISM 비제조업 PMI (6월) | 52.4 | 51.8 | ★★ |
2025.07.05 | 미국 주간 원유채굴장비 수 (Baker Hughes) | - | 497 | ★ |
종합 의견
금일 미국 증시는 고용지표 호조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완화 그리고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유지됨에 따라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다만 고용지표 내에서 민감 산업군의 고용 둔화와 서비스 부문 고용 위축 등 부정적인 신호도 존재하여 단기적으로는 혼조된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책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이 91관세 유예 연장 여부를 직접 결정하게 되어 향후 무역 정책 리스크가 다시 부각될 수 있으며, 일부 수출 제재 완화로 수혜를 입는 종목군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내일은 미국 독립기념일로 인해 시장이 휴장하므로 변동성은 제한되겠지만, 주말 전 발표될 ISM 비제조업 PMI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실적 시즌(7월 중순) 돌입 전까지 거시 경제보다 개별 기업의 펀더멘털 및 정책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기억과추억 > 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7월 8일 경제지표 발표 앞두고 혼조 마감한 미국 증시, 관세 이슈 재부각 (27) | 2025.07.09 |
---|---|
2025년 7월 7일 미국 증시 하락…트럼프의 관세 발표와 7월 8일 경제지표 발표는? (10) | 2025.07.08 |
2025년 7월 2일 미국 증시 마감: 경제지표 발표 앞두고 기술주 강세에 S&P 사상 최고치 경신 (16) | 2025.07.03 |
2025년 7월 1일 경제지표 발표 이후 미국 증시 혼조 마감…기술주 약세, 순환매 본격화? (16) | 2025.07.02 |
2025년 6월 31일 미국 증시 마감: 경제지표 발표와 FOMC 금리 인하 기대 속 사상 최고치 경신 (11)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