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세스

Development Culture

by [시지프] 2025. 4. 7.
728x90

개발 문화 개용의 AI 생성 이미지
동료들과 함께 정하는 개발 문화

새로운 조직을 세팅하고 싶거나  또는 이미 개발 조직이 있는 경우이지만 생산성과 개발 프로세스를 정립하려는 계획이 있고 초기 스타트업이 어느 정도 수익이 나서 개발자를 적극 채용하는 시기가 도래하게 되면 결국 개발 문화를 살펴보게 된다.

 

조직 세팅부터  하면 좋겠으나 경영진들은 이러한 규칙과 룰을 정하는 것은 불필요한 행위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초기 스타트업이나 경직된 회사의 IT 조직일 경우  개발 문화를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더라도

당장 수익이 나지 않고 자금이 없는 상황에서 개발 문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할 것이다.

 

또한 스타트업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아이디어 빌딩을 한 후 가설과 검증을 통해 시장에서 통할 지, 말지를 판단이 안된 상태에서 문화를 만들기 전에 서비스를 랜딩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또한 품질과 고객만족 이전에 빠르게 고객 반응을 보고 그 결과를 가지고 비즈니스의 방향성을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 문화 정립은 사치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문화란 정의를 한번 살펴보자


문화(, Culture)란 보편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체계를 말한다(참조: 나무위키)

 

 

 

일반적으로 개발을 하는 데 있어서 널리 통용되고 모두가 납득이 가는 생각 및 행위이라고 생각한다.

정의를 나름 내려 보자면

더 나은  개발 환경을 조성하고 구성원들끼리의 스킬 및 성장을 돕는 행위이다.

개발 및 개발과 관련된 사람들과 논의하여 결정사항들을 공유한다.

추가 논의가 필요한 Item 들은 거론하고 토론한다.

 

 

아래의 주제로 다음 장부터 정리해보려 한다.


목차

내가 경험했던 내용의 정리해 보면  위에 기술된 내용들 이외에도 만들어야 할 규칙이 회사마다 있을 수 있다.

어쩌면 사람이 하는 일이라 사람과의 관계,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인드, 결정과 책임에 대한 책임 소재, 실수를 줄이는 방법 등등

많은 다른 부분이 있지만 내가 경험하고 몸소 익혀왔던 내용에 중점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하단푸터
숏폼플레이 다운로드 부탁드려요 ^^

 

728x90